본문 바로가기
건강 이야기

저혈당 완벽 가이드 : 당뇨병 환자 저혈당 대처법

by 보민빠빠 2025. 3. 20.
반응형

저혈당은 혈액 속 포도당 농도가 정상 범위 이하로 떨어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. 우리 몸은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, 혈당이 너무 낮아지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 특히 당뇨병 환자에게 저혈당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.

저혈당 시 나타나는 증상 사진
저혈당시 나타나는 증상들

저혈당의 정의 및 기준

일반적으로 혈당 수치가 70mg/dL 이하로 떨어지면 저혈당으로 정의합니다. 하지만 개인에 따라 증상이 나타나는 혈당 수치는 다를 수 있습니다. 당뇨병 환자의 경우, 혈당 조절 목표에 따라 저혈당 기준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의사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.

저혈당의 주요 증상

  • 초기 증상: 식은땀, 떨림, 불안, 두근거림, 배고픔, 어지럼증, 집중력 저하
  • 중증 증상: 두통, 시력 변화, 혼란, 발작, 의식 불명

저혈당 증상은 개인차가 크며, 초기 증상을 놓치면 중증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

저혈당 발생 시 대처 방안

  1. 즉시 혈당 측정: 혈당 측정기로 혈당 수치를 확인합니다.
  2. 빠른 당분 섭취: 혈당이 70mg/dL 이하인 경우, 즉시 단순당 15~20g을 섭취합니다. (예: 포도당 정제, 사탕, 과일 주스, 꿀 등)
  3. 15분 후 재측정: 15분 후 다시 혈당을 측정하고, 여전히 낮으면 추가로 당분을 섭취합니다.
  4. 식사 또는 간식 섭취: 혈당이 정상 범위로 회복되면, 복합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포함된 식사 또는 간식을 섭취하여 혈당이 다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합니다.
  5. 중증 저혈당 시 응급 처치: 의식 불명 등 중증 저혈당 발생 시, 즉시 119에 신고하고 글루카곤 주사를 투여하거나 병원으로 이송합니다.

 

저혈당시 대처방안
저혈당시 응급처치

저혈당이 당뇨병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

  • 혈당 변동 심화: 저혈당은 혈당 변동 폭을 크게 만들어 혈당 관리를 어렵게 합니다.
  • 합병증 위험 증가: 반복적인 저혈당은 심혈관 질환, 신경 손상 등 합병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.
  • 인지 기능 저하: 저혈당은 인지 기능 저하, 기억력 감퇴 등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  • 일상생활 제약: 저혈당 발생에 대한 두려움은 일상생활에 제약을 주고,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.

저혈당 예방 및 관리

  • 규칙적인 식사: 식사를 거르지 않고 규칙적으로 식사합니다.
  • 적절한 약물 복용: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정확한 용량의 약물을 복용합니다.
  • 규칙적인 운동: 규칙적인 운동은 혈당 관리에 도움이 되지만, 운동 전후 혈당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간식을 섭취합니다.
  • 혈당 자가 측정: 혈당 측정기로 혈당을 꾸준히 측정하고, 혈당 변화를 기록합니다.
  • 의사와의 상담: 저혈당이 자주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,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여 약물 또는 생활 습관 조절을 합니다.

마무리

저혈당은 당뇨병 환자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상태입니다. 저혈당 증상을 숙지하고, 적절한 대처법을 익혀 저혈당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또한, 규칙적인 생활 습관과 혈당 관리를 통해 저혈당을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시길 바랍니다.

"당뇨병이란 무엇인가? 당뇨병 완전 이해하기"에 대한 이 블로그글 읽어보기
반응형